1. 기능주의의 주요내용
기능주의(Functionalism)는 사회란 그것을 구성하는 다양한 부분들이 함께 작동해 사회 전체의 안정을 만들어 내고, 사회학은 그들의 관계들을 분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우리는 어떻게 그들이 사회 안의 다른 제도들과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종교적 신념과 한 사회의 관습을 분석할 수 있다. 왜냐하면 한 사회의 각기 다른 부분들은 항상 상호 간에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발전하기 때문이다. 콩트와 뒤르켐을 포함한 기능주의자들은 사회의 기능을 살아 있는 유기체에 비유하는 유기체적 유추를 활용해 왔다. 이들은 사회의 부분들이 마치 인체의 다양한 부분들이 그렇듯 전체로서의 사회의 이익을 위해서 같이 움직인다고 주장한다. 심장과 같은 신체 기관을 연구하기 위해 우리는 심장이 다른 신체 기관과 어떻게 관련되는가를 보여 줄 필요가 있다. 심장은 몸 전체에 혈액을 보냄으로써 유기체로서의 생명을 유지하는 데 절대적인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교육 체계와 같은 사회제도의 기능 분석은 그것이 사회를 원활하게 하는 데 일조함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기능주의는 사회의 질서와 안정을 유지시키는 도덕적 합의(Moral cosensus)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도덕적 합의는 한 사회에서 대다수의 사람들이 동일한 가치를 공유할 때 형성된다. 기능주의자들은 질서와 균형을 사회의 정상적인 상태로 본다. 이러한 사회적 균형은 사회 구성원들 간에 도덕적 합의가 있기 때문에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뒤르켐은 종교가 사람들이 핵심적인 사회적 가치들을 공유할 수 있게 해 주고, 따라서 사회적 결속 유지에 기여한다고 주장했다.
2. 로버트 K. 머턴의 기능주의
1960년대에 이르기까지 기능주의적 사고는 특히 미국 사회학에서 주도적인 이론적 전통이었다. 뒤르켐으로부터 광범위하게 영향을 받은 탈콧 파슨스(Talcott Parsons)와 로버트 K. 머턴(Robert K. Merton)은 가장 두드러진 기능주의 추종자였다. 머턴의 기능주의는 영향력이 각별했다. 그는 잠재적 기능과 명시적 기능을 구분했다. 명시적 기능은 특정한 유형의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는 당사자가 인지하고 의도하고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잠재적 기능은 당사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활동의 결과다. 이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머턴은 애리조나와 뉴멕시코의 호피족(Hopi Tribe) 사이에서 행해지는 우무(Rain dance)를 예로 든다. 호피족들은 이 춤이 농사에 필요한 비를 내리게 해 줄 것이라고 믿는다(명시적 기능). 그러나 머턴은 우무는 호피 사회의 결속을 증진하는 효과 역시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잠재적 기능). 머턴에 따르면 사회학적 설명이란 대체로 사회적 행위와 제도들의 잠재적 기능을 밝혀내는 것이다.
머턴은 또한 기능과 역기능(Dysfunctions)을 구분한다. 사회적 행위의 역기능적 측면의 탐구는 현존 질서에 도전하는 사회회적 삶의 특징들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로 종교는 언제나 기능적(즉, 종교는 오직 사회적 결속에 기여할 뿐이다)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오류다. 두 집단이 서로 다른 종교를 지지하거나 심지어 같은 종교의 다른 분파를 지지할 경우, 광범위한 사회적 파괴를 초래하는 심각한 사회적 갈등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종교 공동체들 사이에 전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은 논랄 일이 아니다. 프로테스탄트와 가톨릭 사이의 전쟁은 유렵 역사에서 발견할 수 있는 종교적 갈등의 사례다.
3. 기능주의의 한계
1980년대 이래로 기능주의는 한계가 명백해짐에 따라 인기를 잃기 시작했다. 머턴의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지만 많은 기능주의자들이 계급, 인종, 젠더에 기반을 둔 불평등이나 사회적 분열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안정과 사회적 질서에만 주목했다. 또한 기능주의는 사회에서 창조적인 사회 행위의 역할도 별로 강조하지 않는다. 많은 비판자들은 기능주의적 분석에 따를 경우 사회가 갖고 있지 않은 속성이 사회의 속성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필요와 목적과 같은 개념은 단지 인간 개인에게 적용될 때에만 이해될 수 있는데도 기능주의자들은 마치 사회가 필요와 목적을 갖고 있는 것처럼 주장한다.
'Soci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학의 이론적 전통(2) : 갈등주의 (1) | 2024.12.19 |
---|---|
사회학의 창시자들(3) : 해리엇 마티노, 이븐 할둔 (1) | 2024.12.19 |
공리주의, 자유적 평등주의, 자유지상주의(2) : 평가 및 함의 (1) | 2024.12.19 |
공리주의, 자유적 평등주의, 자유지상주의(1) : 중심 내용 (0) | 2024.12.19 |
사회학의 창시자들(2) : 카를 마르크스, 막스 베버 (0) | 2024.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