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4 공리주의, 자유적 평등주의, 자유지상주의(2) : 평가 및 함의 1. 세 정의관의 이론적 문제 및 한계성과 긍정성 및 탁월성 롤즈는 공리주의를 전체주의 이념이라고 비판한다. 공리주의는 사회전체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개인의 희생을 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이는 롤즈가 말한 2원칙을 위하여 1원칙을 훼손할 수 없음을 말하는 것이다. 즉 1원칙에서 언급한 모든 시민들이 누려야 할 시민권은 제한이 있어서는 안 된다. 그러나 2원칙의 차등원칙을 실현시키는 과정에서 개인의 희생을 전제로 한다면 공리주의의 사회적 효율성은 평등원칙을 상실하는 것이라는 비판이다. 반면 공리주의의 입장에서 롤즈의 문제의식은 여러 가지 점에서 비판이 가능하다. 첫째로, 단계론적인 사고이다. 1원칙은 정치적인 영역의 문제이고 2원칙은 경제적인 영역의 문제인데 이러한 단계적인 사고는 오히려 사회를 총체.. 2024. 12. 19. 공리주의, 자유적 평등주의, 자유지상주의(1) : 중심 내용 1. 공리주의(功利主義, utilitarianism)공리주의는 행위의 기준을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즉 사회의 최대다수 구성원의 최대한의 행복을 구하는 윤리관으로서 벤담과 밀이 그 대표적 사상가이다. 공리주의는 18세기 영국에서 발전한 도덕철학으로서 당시 영국사회 개혁의 이론적 기초가 되었고, 고전경제학의 자유주의적 경제학을 뒷받침하기도 하였다. 또한 공리주의는 19세기 말에 나타난 신고전파 경제학과 피구 이후의 후생경제학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런 관점에서 공리주의는 정통경제학의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공리주의는 공리성(utility)을 가치 판단의 기준으로 하는 사상이다. 곧 어떤 행위의 옳고 그름은 그 행위가 인간의 이익과 행복을 늘리는 데 얼마나 기여하는가 하.. 2024. 12. 19. 사회학의 창시자들(2) : 카를 마르크스, 막스 베버 1. 카를 마르크스(Karl Marx, 1818~1883)카를 마르크스는 콩트나 뒤르켐과 마찬가지로 산업혁명으로 일어난 변화들을 설명하고자 했으나 그들의 생각과는 아주 첨예한 대조를 보인다. 젊은 시절에 마르크스는 정치적으로 독일 당국과 마찰을 일으켰고 그래서 일시적으로 프랑스에 머물다 영국으로 영구 망명해 여생을 영국에서 마감했다. 그는 그에서 공장과 산업 생산의 발전뿐만 아니라 그것이 낳은 불평등을 목도했다. 유럽의 노동운동과 사회주의 사상에 대한 마르크스의 관심은 다양한 주제를 다룬 그의 저작 속에 반영되어 있다. 마르크스 저작의 대부분은 정치, 경제적 이슈들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경제적 문제를 사회 제도에 연결시켰기 때문에 그의 저작들은 풍부한 사회학적 통찰들을 담고 있다.마르크스가 오 시기의 역.. 2024. 12. 18. 뒤르켐의 자살연구 요약 연구문제뒤르켐의 '자살론(Suicide: A Study in Sociology)'은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탐구하는 사회학 연구의 고전 중 하나이다. 사람들은 스스로를 자유 의지를 가진 개별적 존재라고 여기지만 그들의 행위는 종종 사회적으로 유형화되고 구조화되며, 뒤르켐의 연구는 매우 개인적으로 보이는 자살과 같은 행위가 사회에서 나타나는 일들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뒤르켐은 자살이 하나의 사회적 사실이며 이는 다른 사회적 사실에 의해서만 설명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자살률은 개인적 행위의 단순 총합이 아니다. 그것은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 유형화된 특성을 갖는 현상이다. 또한 자살률은 세계 사회마다 많은 차이를 보인다. 뒤르켐은 프랑스에서 집계된 자살의 공식적 통계를 조사해 특정 범주의 사람들이.. 2024. 12. 18. 사회학의 창시자들(1) : 오귀스트 콩트, 에밀 뒤르켐 사회적 삶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기원은 1789년의 프랑스 대혁명과 18세기 중반 유럽에서의 산업혁명에 따른 일련의 변화들에 기반을 둔다. 이러한 사건들은 오래된 전통적인 삶의 방식들을 파괴했고, 사회학의 창시자들은 어떻게 이러한 급진적 변화들이 발생했는지 이해하려 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그들은 또한 통상의 종교적 믿음에 도전하는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식으로 사회와 자연 세계를 보는 방식들을 발전시켰다. 1. 오귀스트 콩트(Auguste Comte, 1798~1857) 오귀스트 콩트는 1840년대에 '사회학(Sociology)'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콩트는 새로운 분야를 서술하기 위해 원래 '사회물리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당대의 그의 지적 라이벌들도 이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콩.. 2024. 12. 17.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사회학적 상상력 사회학적으로 생각하는 법을 배운다는 것은 우리의 상상력 계발을 의미한다. 사회학을 배운다는 것은 단지 지식을 습득하는 일상적 과정이 아니다. 사회학자란 자신이 친숙한 개인적인 상황을 벗어나 더 큰 맥락에서 사물을 바라볼 수 있는 사람이다. 사회학적 연구는 미국의 사회학자인 라이트밀스(Wright Mills)가 자신의 유명한 저서에서 언급했던 이른바 '사회학적 상상력'에 의존한다. 사회학적 상상력의 정의 사회학적 상상력은 개인의 삶의 경험(개인적 문제)과 사회적 구조(공공의 문제)를 연결하는 능력이다. 즉, 개인의 일상적 문제를 그 개인이 속한 역사적·사회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밀스는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통찰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 개인적 문제(Troubles.. 2024. 12. 16. 이전 1 ··· 11 12 13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