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4

서울 중구성동구을 국회의원 박성준(더불어민주당) 프로필 안녕하세요. 입춘이 지났지만 여전히 추운 날씨가 지속되고 있습니다.오늘은 서울특별시 중구성동구을 선거구와 박성준 국회의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서울 중구성동구을 선거구는 소공동, 회현동, 명동, 필동, 장충동, 광희동, 을지로동, 신당동, 다산동, 약수동, 청구동, 신당제5동, 동화동, 황학동, 중림동, 금호1가동(성동구), 금호2·3가동(성동구), 금호4가동(성동구), 옥수동(성동구)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박성준 의원은 아나운서 출신으로 1996년 KBS 23기 아나운서 공채로 방송계에 입문하여 대전KBS에서 활동하였으며, 2011년 JTBC로 이직하여 사건반장, 시청자 의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서 진행을 맡았습니다. 2020년 1월 10일,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JTBC를 퇴사하였고, 같은.. 2025. 2. 6.
서울 중구성동구갑 국회의원 전현희(더불어민주당) 프로필 안녕하세요. 매서운 한파가 지속되는 요즘 건강 관리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오늘은 서울특별시 중구성동구갑 선거구와 전현희 국회의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우선 서울 중구성도구갑에 해당되는 동은 왕십리도선동, 왕십리제2동, 행당제1동, 행당제2동, 마장동, 사근동, 송정동, 용답동, 응봉동, 성수1가제1동, 성수1가제2동, 성수2가제1동, 성수2가제3동 입니다. 전현희 의원은 2016년 국회의원 선거에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국회에 입성하게 되었습니다. 전현희 의원은 특히 여성의 권익 증진과 관련된 법안을 다루는데 많은 관심을 가지고 활동해 왔습니다. 성범죄 피해자 보호, 성평등 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 등에 대한 강한 입장을 보이고 있으며, 여러 여성 관련 사회적 이슈에 대해 목소리를 내왔습니다. 또한,.. 2025. 2. 6.
서울 종로구 국회의원 곽상언(더불어민주당) 프로필 안녕하세요. 오늘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곽상언 국회의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곽상언은 대한민국의 변호사 출신 정치인으로, 더불어민주당 소속 제22대 국회의원입니다. 그는 서울 종로구를 지역구로 활동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인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위로도 알려져 있습니다.종로구에 해당되는 동은  청운효자동, 사직동, 삼청동, 부암동, 평창동, 무악동, 교남동, 가회동, 종로1·2·3·4가동, 종로5·6가동, 이화동, 혜화동, 창신제1동, 창신제2동, 창신제3동, 숭인제1동, 숭인제2동 입니다.  곽상언 (郭相彦), KWAK SANGEON 생년월일 : 1971-11-18정당 : 더불어민주당소속 위원회 :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당선횟수 : 초선(제22대)의원홈페이지 : http://w.. 2025. 1. 23.
청년, 화이트칼라, 기업 범죄의 특징 1. 청년과 범죄범죄에 대한 대중적 공포는 대체로 노동 계급 젊은 남섬의 영역으로 간주되는 절도, 강도, 상해 및 강간과 같은 '거리 범죄'에 집중되어 있다. 늘어나는 범죄를 다루는 미디어는 젊은 사람들의 '도덕적 파탄'에 초점을 맞추고 사회에서 범죄를 '용인'하는 정도가 높아지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기물 파괴, 무단결석, 마약 복용을 부각시킨다. 사회학자들에 따르면 젊은이를 범죄 활동과 동일시하는 것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흔히 젊은 사람들은 사회 자체의 건강성과 복지의 지표로 간주된다.범죄율에 관한 공식적인 통계는 소녀들보다 소년들이 더 범죄를 저질러 젊은 사람들에게서 범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보여 준다. 2003년부터 2006년 사이 영국과 웨일스에서 10~26세 5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 2025. 1. 22.
범죄의 희생자와 가해자 : 젠더, 성과 범죄 1970년 이전 범죄학은 전통적으로 인구의 절반을 무시했다. 페미니스트들이 범죄학에 대해 여성이 대단히 이론적인 논의에서나 경험적인 연구에서 보이지 않는 남성 지배적인 학문이라고 비판한 것은 타당하다. 1970년대 이 많은 페미니스트 연구가 여성의 범죄가 남성의 범죄와는 다른 맥락에서 발생한다는 것에 관심을 기울였고, 어떻게 여성의 형벌 제도 경험이 남성과 여성의 적절한 역할에 대한 차이를 바탕으로 한 가정에 의해 영향을 받았는지에 관심을 기울였다. 형사 체계에 대한 여성의 경험은 '적절한' 남성의 역할과 여성의 역할에 관한 어떤 성별화된 전제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페미니스트들은 가정과 공공장소에서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강조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1. 남성의 범.. 2025. 1. 21.
범죄와 일탈에 관한 사회학적 이론(4) : 통제 이론 1. 통제이론의 개념통제이론은 범죄 행위에 대한 충동과 그것을 저지하는 사회적 혹은 물리적 통제 간의 불균형의 결과에서 범죄가 발생한다고 본다. 범죄를 저지르는 개인들의 동기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합리적으로 행동한다고 가정하고 주어진 기회에 모든 사람들은 일탈적인 행동을 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통제 이론은 많은 범죄들을 개인의 기회로 인식하고 행동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상황적 결정'의 결과로 주장한다.가장 잘 알려진 통제 이론가들 가운데 한 명인 트래비스 허시(Travis Hirshi)는 인간은 범죄 행위에 가담함으로써 기대되는 가능한 이익과 위험을 저울질해 범죄에 가담할 것인가 말 것인가를 계산하는 근본적으로 이기적인 존재라고 주장한다. '일탈의 원인'에서 허시는 개인을 사회에 결합.. 2025. 1. 20.